728x90
반응형

음악 341

La Spagnola (라 스파뇨라)

빈센조 디 키아라(Vincenzo Di Chiara, 1864~1937)이탈리아 나폴리 출신의 칸초네 작곡가대표곡: 라 스파뇨라, 산타 루치아, 오 나의 태양, 먼 산타 루치아 등    악곡 해설‘라 스파뇨라’는 ‘스페인의 아가씨’라는 이탈리아어이다. 이 곡은 1892년에 빈센조 디 키아라 자신이 직접 가사를 쓰고 곡을 붙였다. 정열적인 스페인 아가씨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것이다. 3박자의 왈츠 리듬에 정열적인 선율이 아름답다. 그리고 이탈리아 민요처럼 불리는 나폴리의 가곡이지만 스페인의 정취가 풍기는 이국적인 정서가 넘친다. ● 왈츠의 빠르기로, 바장조-바단조, 3/4박자, 겹세도막 형식Di spa gna so no la bel la, Re gi na son del la mor,Tu ti mi di co..

Mattinata (아침의 노래)

루제로 레온카발로(Ruggiero Leoncavallo, 1857∼1919)낭만주의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나폴리 음악원 졸업대표곡: 오페라 ‘Pagliacci’, ‘I Medici’, La bohème, Zazà 등​​  악곡 해설‘세레나데(Serenade)’가 ‘저녁의 노래’라고 한다면, 이 ‘마티나타(Mattinata)’는 ‘아침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마티나타는 원래 곡명이라기보다는 아침 해가 떠오르듯 밝고 상쾌한 기분으로 부르는 사랑의 찬가를 뜻한다. 이 곡은 1904년에 작곡하였으며, 이탈리아 특유의 밝고 유쾌한 감정을 잘 나타낸 아름다운 곡이다. ● 조금 빠르게, 마장조, 6/8박자, 세도막 형식L'Aurora, di bianco vestita, Gia l'uscio dischiude al..

Serenata Rimpianto, Op. 6 No. 1 (탄식의 세레나데)

엔리코 토셀리(Enrico Toselli, 1883-1926)이탈리아 가곡 작곡가, 피아니스트대표곡: 탄식의 세레나데    악곡 해설토셀리가 17세 때인 1900년에 작곡하여 발표한 곡인 ‘세레나타 림피안토 작품번호6-1’(Serenata Rimpianto Op. 6 No. 1)이 작곡자의 표기에 의한 곡명이 아닌 ‘토셀리의 세레나데’ 또는 ‘탄식의 세레나데’로 불리는 배경에는 1906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프레드릭 아우구스투스 III(Frederick Augustus, 1856~1932)의 왕세자비인 오스트리아의 대공 루이스(Archduchess Louise of Austria, 1870~1947)와의 어리석고 슬픈 사랑의 과거사가 있다.토셀리가 보여준 부적절한 모습과 슬픈 사랑의 운명에 대한 안타까운..

Vaghissima Sembianza (아름다운 그대 모습)

스테파노 도나우디(Stefano Donaudy, 1879~1925)이탈리아 시칠리아 출생이탈리아 가곡 작곡가팔레르모 음악원에서 G. Zuelli에게 작곡 사사​  악곡 해설이 곡은 스테파노 도나우디가 1892년(당시 13세)에 작곡한 곡으로 도나우디의 ‘36 Arie di Stile Antico(고대양식에 의한 가곡 36)’에 수록되어 있다. 초상화의 아름다운 모습에 예전에 사랑했던 그대와 닮았다고 초상화를 보며 부르는 노래이다. ● 느리게, 가장조, 3/4박자, 세도막 형식Vaghissima sembianza d’antica donna amata,chi, dunque, v’ha ritratta contanta simiglianzach’io guardo, e parlo, e credo d’avervi a..

Nina (니나)

빈첸초 레그렌초 참피(Vincenzo Legrenzio Ciampi, 1719~1762)이탈리아 피아첸차 출생작곡가25개의 가극 상연대표곡: 니나 등​  악곡 해설이 곡은 오랫동안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Giovanni Battista Pergolesi, 1710~1736)의 작품으로 전해져 왔으나, 현재는 빈첸초 레그렌초 참피(Vincenzo Legrenzio Ciampi, 1719~1762)의 작품으로 정정되었다.이 곡은 그의 무명의 가곡 ‘삼일째 잠든 니나(Tre giorni son che Nina)’ 중에서 어머니가 딸 니나의 죽음을 슬퍼하여 부르는 소프라노 아리아로, 원작사자는 불명이다. 이탈리아 고전 가곡 중에서도 특히 널리 알려진 곡으로, 조용하고 상냥한 빛을 지닌 소박한 곡이다. ● 조..

Fenesta Che Lucivie Mo Non Luci (그대 창에 등불 꺼지고)

벨리니(Bellini, Vincenzo 1801~1835)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대표곡: 몽유병의 여인, 청교도, 노르마 등    악곡 해설연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나폴리 민요로 1834년에 벨리니가 작곡했다. 시칠리아 방언으로 번역되어 ‘이별’이라는 곡명으로 불렸는데 원곡보다 한층 단순화된 형태로 지금도 불리고 있다.  ● 조금 느리고 슬프게 (andantino malinconico), 바단조, 12/8 박자Fenesta che lucivi e mo non luciSign' e ca nenna mia stace ammalataS'affaccia laso rella e melodiceNennella toja e morta e s'e atterrataChiagneva sempe ca dorme va sola..

il bacio (입맞춤)

루이지 아르디티(Luigi Arditi, 1822~1903)이탈리아 크레스센티노 출생작곡가, 지휘자, 바이올리스트대표곡: 입맞춤 등​​ 악곡 해설입맞춤의 설레임을 빠르고 화려하게 표현한 왈츠풍의 이 곡은 루이지 아르디티(Luigi Arditi, 1822~1903)가 작곡하여 자기의 뮤즈인 이탈리아 소프라노 가수인 마리에타 피콜로미니(Marietta Piccolomini, 1834~1899)에게 바쳤다고 한다.● 빠르고 화려하게. 왈츠풍으로(Allegro brillante. Tempo di Valse), 내림나장조, 3/4박자Sulle labbra se potessidolce un bacio ti darei. Tutte ti direi le dolcezze dell'amor.Sempre assisa te ..

베르너 들장미 Heidenröslein

하인리히 베르너 (Heinrich Werner, 1800–1833)​작곡가        악곡 해설 1829년에 작곡된 이 곡은 괴테의 시에 베르너가 가락을 붙인 곡이다. 어린 소년이 황야에 피어 있는 한 송이의 아름다운 장미를 보고 감탄하는 내용으로 괴테가 22세 때 짝사랑 하던 한 여인을 향한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다.​하이덴뢰스라인(Heidenröslein), 들장미, 월계꽃 글자와 발음은 다르지만 같은 뜻, 들에 피는 장미를 가르킨다.​Andantino, 라장조, 6/8박자  Sah ein Knab' ein Röslein steh'n,Röslein auf der Heiden, War so jung und morgenschön, Lief er schnell, es nah zu seh'n,Sah's mi..

질허 - 로렐라이 (Die Lorelei)

프리드리히 질허(Friedrich Silcher, 1789-1860)독일의 작곡가음악 교육자로민요와 합창 음악의 편곡으로 유명대표곡: "Die Lorelei" ​악곡 해설하이네(Heinrich Heine, 유대계 독일의 시인·작가·기자·문학 평론가, 1797~1856)가 1822년 발표한 시집 ‘귀향(Die Heimkehr)’에 수록된 시에 질허가 1837년에 민요풍의 친근미에 넘치는 선율로 곡을 붙인 노래가 바로 그 유명한 독일 민요 '로렐라이'이다. ​● 느리게, 다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_A(a+a')-B(b+a'')a옛날부터 전해오는 쓸쓸한 이말이a'가슴 속에 그립게도 끝없이 떠오른다b구름 걷힌 하늘아랜 고요한 라인강a''저녁 빛이 찬란하다 로렐라이 언덕저편 언덕 바위위에 어여쁜 그 처녀황..

O Holy Night (오 거룩한 밤)

아돌프 샤를 아당(Adolphe Charles Adam, 1805~1856)프랑스 파리 태생, 오페라 작곡가, 음악 평론가대표곡: 오페라 ‘롱쥐모의 우편배달부’, 발레곡 ‘지젤’ 등​  악곡 해설이 곡은 플라시드 까뽀(Placide Cappeau, 프랑스의 시인, 1808~1877)의 시에 아당이 1947년에 작곡하였다. 원래는 크리스마스의 노래(Cantique de Noël)라는 곡명이었으나, 후에 영어로 번역되어 ‘O Holy Night’의 곡명으로 온 세계 사람들에게 애창되었다. 프랑스의 크리스마스 노래(노엘)로서 알려져 있다. ● 느리고 장엄하게, 라장조, 4/4박자, 변칙적인 세도막 형식_A(a+a')-B(b)-C(c+d+e) O holy night, the stars are brightly 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