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악/한국 동요 11

전래 동요 새야 새야

새야 새야 ‘새야 새야’는 한국 전역에 퍼진 우리 전래 민요이며, 지방마다 음이나 가락이 조금씩 다르며, 중모리 장단에 맞추어 부른다. 전래 동요: 새야 새야 https://youtu.be/qaSfSOmgq54  전래 동요: 새야 새야 - 장주 음악: 중모리 장단https://youtu.be/3lWNNI67yWo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3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바로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입문 시리즈 제3권!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www.yesolpress.com

구비 전승 민요구비 전승 민요 한국 자장가

자장가 ‘자장가’는 전래동요라기 보다는 구비 전승 민요라고 할 수 있으며, 부모가 사랑하는 아기에게 들려주는 곡이기 때문에 간결하면서도 호소력이 있으며, 가장 편안하고 아름다운 노래이다. 한국 자장가https://youtu.be/JxTI6BnbLtY 한국전래동요: 자장가 반주 음악https://youtu.be/3vvBHSh3oTo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3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바로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입문 시리즈 제3권! 저자 서경수는 중등음악교육의 베테랑 수석교사로, 효과적이고 수월한 음악 감상 교수 학습 활동을 위해www.yesolpress.com

섬집아기

이흥렬(1909~1981)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학장을 역임하였고, 작곡가 홍난파와 피아노 트리오를 조직하여 연주 활동을 하였으며, 예술원 회원을 역임하였다.주요 작품은 내 고향(이흥렬 작사), 행복, 자장가(김동환 시), 부끄러움(주요한), 봄이 오면(김동환 시), 비오는 밤(이흥렬 시) 아랑고개(김동환 시), 코스모스를 노래함(이기순 시), 창백한 마을(이기순 시) 가을 비(최남선 시), 가신 누님(주요한 시), 고향 그리워 바우 고개(이흥렬 시) 등 다수가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초등학교 교사였던 한인현이 피난살이를 하던 어느날 부산 앞바다의 작은 섬에 갔다가 일하러 간 어머니를 오두막에서 홀로 기다리며 잠든 아이를 보고 가난한 어촌의 애환을 담아 쓴 시에 이흥렬이 우리..

우리의 소원

안병원(安丙元, 1926년 8월 5일 ~ 2015년 4월 5일)은 대한민국의 테너 성악가, 작곡가, 지휘자로 숙명 여자 대학교에서 강사를 역임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우리의 소원’, ‘구슬비’, ‘푸른 바람’, ‘물방아’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우리의 소원》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문예 분야에서 활동했던 안석주가 작사하였고, 그의 아들이자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재학생이었던 안병원이 곡을 붙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전인 1947년에 서울에서 발표한 노래이다. 어린이가 주로 부르는 동요의 특성상 대한민국에서 가사를 따라 ‘우리의 소원’이라고 불렀다.     ● 보통 빠르기로, 내림마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  우리의 소원은 통일꿈에도 소원은 정성 다해서 통일통일을 이루자이 겨레..

우산 셋이 나란히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925년 간도에서 음악 교사로 재직하면서 일본노래 뿐이던 일제강점기에 아이들을 위해 ‘따오기’, ‘우산 셋이 나란히’ 등의 노래를 작곡하였다.  https://youtu.be/2pTINr0CZNE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4 - 한국가곡..

까치까치 설날은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이 곡은 1924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 노래밖에 없던 이 땅의 아이들을 위해 어둠의 시대 속에서도 새날의 희망을 염원하며 작곡하였고, 가사 중에 까치는 일제 암흑 속에 갇힌 대한민국을 해방시키는 존재라고 해석돼 우리에게 의미 있는 동물로 자리 잡게 되었다. https://youtu...

고드름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이 곡은 일제 강점기인 1924년에 외래 민요나 창가시대를 벗어나 조선의 어린이에게 알맞은 동요를 창작하자고 주장한 윤극영이 작곡하였다. 4/4박자, 바장조, 보통빠르기로 부르며 형식은 작은 세도막형식으로 되어 있다. 한민족의 정서와 천진스러운 동심을 잘 나타내고 있는 이 곡의 가..

따오기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이 곡은 일제 강점기인 1925년에 윤석중의 시에 곡을 썼다. 노랫말과 가락이 심금을 울려주는 슬픈 동요로 민족항일기의 애달픈 민족의 감정이 깃들여 있다. 일본제국은 이 노래의 가창을 금지시켰는데 1945년 해방 후에 다시 부르게 되었다. 6/8박자, 내림마장조, 보통빠르기, 두도..

기차길 옆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해방직후의 어지럽고 시끄러운 사회에서도 아랑곳하지 않고 무럭무럭 자라나는 어린이의 사랑스럽고 평화스러운 모습을 윤석중의 시에 1947년에 작곡한 곡이다. https://youtu.be/WtfErks3fno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4 -..

우리의 소원

안병원(安丙元, 1926년 8월 5일 ~ 2015년 4월 5일)은 대한민국의 테너 성악가, 작곡가, 지휘자로 숙명 여자 대학교에서 강사를 역임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우리의 소원’, ‘구슬비’, ‘푸른 바람’, ‘물방아’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우리의 소원》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문예 분야에서 활동했던 안석주가 작사하였고, 그의 아들이자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재학생이었던 안병원이 곡을 붙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전인 1947년에 서울에서 발표한 노래이다. 어린이가 주로 부르는 동요의 특성상 대한민국에서 가사를 따라 ‘우리의 소원’이라고 불렀다.   ● 보통 빠르기로, 내림마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 우리의 소원은 통일꿈에도 소원은 통일이 정성 다해서 통일통일을 이루자이 겨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