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악 341

La Mer (바다)

La Mer (바다) 샤를 트르네 (Charles Trenet, 1913~2001)프랑스 출신 샹송 가수, 배우, 작사가, 작곡가대표곡: 라 메르, 시인의 영혼 등​​  악곡 해설이 곡은 프랑스의 샹송 싱어송라이터인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가 1938년(당시 16살)에 작사· 작곡한 곡인데, 그가 어린 시절 여름날을 보냈던 나르본(Narbonne) 인근의 라 누베 (La Nouvelle) 바닷가의 아름다운 정경을 시로 쓰고 곡을 붙였다.​● 보통 빠르기로(modéré), 바장조, 4/4박자, 겹두도막 형식 Qu'on voit danser Le long des golfes clairs A des reflets d'argent La merDes reflets changeants Sous la..

Hymne A L'Amour (사랑의 찬가)

Hymne A L'Amour (사랑의 찬가) 마가렛 모노 (Marguerite Monnot, 1903~1961)프랑스 작곡가대표곡: 사랑의 찬가, 뮤지컬 ‘귀여운 이르마’ 등​​   악곡 해설이 곡은 프랑스 샹송계의 위대한 스타인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1915~1963)가 마르셀 세르당(Marcel Cerdan, 1916~1949)의 죽음으로 충격과 절망 속에서 직접 시를 쓰고, 마가렛 모노(Marguerite Monnot, 1903~1961)가 곡을 붙여 1950년 발표곡으로 프랑스의 대표적인 샹송이다. 생사를 초월해서 결사적으로 맺어지기를 염원하는 애절한 사랑을 담고 있어 수 많은 대중들의 심금을 울렸던 곡으로 남아 있다. ● 느리게, 사장조, 4/4박자, 벗어난 겹두도막 형식_A(a+..

아름다운 나라

아름다운 나라한태수(1973~ )는 대중가요, 영화 음악, 국악 등 다양한 장르의 작사, 작곡, 편곡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1999년 국제 엑스포 주제가’, 2008년 ‘아름다운 나라’, ‘2009년 월드컵 응원가’ 등이 있다. 악곡 해설2008년 KBS 국악 대상 연주 단체 부분에서 수상한 퓨전 국악 밴드 놀이터(Noriter)의 연주곡 ‘Fly to the Sky’가 원곡으로, 2008년 건국 60주년 특집 나라 사랑 독도함 음악회, 임진각 평화 누리 타종 무대 등 대형 공연 무대에서 발표되며 크로스 오버 열풍을 몰고 왔다.  한태수: 아름다운 나라 https://youtu.be/NLm8L5bQEP8   반주 음악https://youtu.be/zKol3M-86ys   평화콘서트..

새야 새야 파랑새야

채동선(蔡東鮮, 1901~1953) 일본 와세다대학 문학부 영문과를 졸업하고, 베를린에서 바이올린과 작곡을 배운 뒤 1929년에 귀국하였다. 1937년 작곡 발표회를 열고 작곡집을 발간하는 한편 현악4중주단을 조직하여 실내악을 위해 활약하였다. 해방 직후, 고려음악회를 조직, 협회장이 되고 이어 문필가  협회장, 예술원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작으로는 가곡, , 그밖에 현악4중주곡 등이 있다. 악곡 해설이 곡은 동학 농민 운동(1894) 때에 아이들에게 널리 불리는 동요를 채동선이 채집해서 합창곡으로 만들었다.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4 - 한국가곡 150선무제 문서 ■ 책 소개 QR코드를 통해 바로바로 감상하는 클래식 명곡 입문 시리즈 제4권 『서경수의 열린 음..

무궁화 (김한배 시, 정세문 작곡)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4 - 한국가곡 150선 (yesolpress.com)정세문(1923~1999)황해도 봉산 출생춘천사범학교 졸업초·중·고 교사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서울교육청 음악장학사 역임문교부 음악담당 편수관, 편수국장 역임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음악교육학과 교수 역임대표곡: 어린이행진곡, 무궁화, 고향, 겨울나무 등​​악곡 해설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 꽃을 통해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하고, 두도막 형식을 이해하기에 알맞은 제재곡이다. 이 노래는 두도막 형식 A(a+a')-B(b+a')의 악곡으로, 처음 동기가 같은 형태로 계속 반복되고 뛰어가기 음정과 차례가기 음정, 그리고 임시표에 의한 음정의 변화를 학습하기에 알맞은 제재곡이다. ● 보통 빠르게, 내림마장조..

섬집아기

이흥렬(1909~1981)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학장을 역임하였고, 작곡가 홍난파와 피아노 트리오를 조직하여 연주 활동을 하였으며, 예술원 회원을 역임하였다.주요 작품은 내 고향(이흥렬 작사), 행복, 자장가(김동환 시), 부끄러움(주요한), 봄이 오면(김동환 시), 비오는 밤(이흥렬 시) 아랑고개(김동환 시), 코스모스를 노래함(이기순 시), 창백한 마을(이기순 시) 가을 비(최남선 시), 가신 누님(주요한 시), 고향 그리워 바우 고개(이흥렬 시) 등 다수가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초등학교 교사였던 한인현이 피난살이를 하던 어느날 부산 앞바다의 작은 섬에 갔다가 일하러 간 어머니를 오두막에서 홀로 기다리며 잠든 아이를 보고 가난한 어촌의 애환을 담아 쓴 시에 이흥렬이 우리..

이영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어머니의 마음’ 변주곡 ‘Mother's Heart’ Variations for Clarinet and Piano

이영수(1951. 12. 17.~ 2018. 12. 14.)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대구 작곡가협회, 대구 예술가곡회, 한국 성가협회 회원, Gloria Chamber Ensemble 단장, 영남대학교 음악학부 교수(작곡전공),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역임했다.저서와 작품으로는 시창과 청음 연습, 건반화성 연습, 세계의 시편모음곡 등이 있다. ​    악곡 해설 이 곡은 이영수 교수(1951~2018)가 부친인 이흥렬의 가곡 ‘어머니의 마음’을 변주 기법을 통해 다양하게 변화, 발전시켜 원곡의 주제선율이 각 변주마다 다채롭게 변형되어 가곡의 재해석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지는 곡으로 Moderato – Allegro – Moderato의 구조로 되어 있다.  https://youtu.b..

음악 2024.07.19

우리의 소원

안병원(安丙元, 1926년 8월 5일 ~ 2015년 4월 5일)은 대한민국의 테너 성악가, 작곡가, 지휘자로 숙명 여자 대학교에서 강사를 역임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우리의 소원’, ‘구슬비’, ‘푸른 바람’, ‘물방아’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우리의 소원》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문예 분야에서 활동했던 안석주가 작사하였고, 그의 아들이자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재학생이었던 안병원이 곡을 붙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전인 1947년에 서울에서 발표한 노래이다. 어린이가 주로 부르는 동요의 특성상 대한민국에서 가사를 따라 ‘우리의 소원’이라고 불렀다.     ● 보통 빠르기로, 내림마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  우리의 소원은 통일꿈에도 소원은 정성 다해서 통일통일을 이루자이 겨레..

우산 셋이 나란히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 이 곡은 1925년 간도에서 음악 교사로 재직하면서 일본노래 뿐이던 일제강점기에 아이들을 위해 ‘따오기’, ‘우산 셋이 나란히’ 등의 노래를 작곡하였다.  https://youtu.be/2pTINr0CZNE   :::도서출판 예솔입니다::: - 서경수의 열린 음악실 4 - 한국가곡..

까치까치 설날은

윤극영(尹克榮, 1903~1988)은 동요 작곡·작사가 겸 아동문화운동가. 음악을 전공하여 아동 음악을 작사 작곡하여 민족의식 고취, 어린이 운동, 문화 활동을 하여 일제시기와 건국 초기의 한국 어린이 문화 활동에 크게 공헌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제비 남매, 우산 셋이 나란히, 고기잡이, 외나무다리, 담모퉁이, 반달,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할미꽃, 고기잡이, 꾀꼬리, 옥토끼노래, 고드름, 따오기 등이 있다.​   악곡 해설이 곡은 1924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 노래밖에 없던 이 땅의 아이들을 위해 어둠의 시대 속에서도 새날의 희망을 염원하며 작곡하였고, 가사 중에 까치는 일제 암흑 속에 갇힌 대한민국을 해방시키는 존재라고 해석돼 우리에게 의미 있는 동물로 자리 잡게 되었다. https://youtu...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