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악 341

52. 기다리는 마음 (김민부 시, 장일남 작곡, Tenor 박세원) 사진

장일남(1932~2006) 황해도 해주 출생1950년에 평양음악학교 졸업, 수도여자사범대학, 한양대학교 작곡과 교수 역임1992년 제28회 백상예술대상, 1997년 제46회 서울시 문화상 수상대표곡: 기다리는 마음, 비목, 꿈에 피었던 꽃, 사랑하는 마음 등 악곡 해설이 곡은 1968년 MBC 문화방송에서 의뢰를 받고 작곡한 곡이다. 기다림에 의한 슬픔과 절제된 감정을 읊조리는 듯이 간절함을 표현하였다.​● 느리고 감정을 풍부하게, 내림사단조, 6/8박자, 두도막 형식 A(a-a')-B(b-a') a 일출봉에 해 뜨거든 날 불러주오a' 월출봉에 달 뜨거든 날 불러주오b 기다려도 기다려도 님 오지 않고a' 빨래 소리 물레 소리에 눈물 흘렸네원각사에 종 울리면 날 불러주오저 바다에 바람 불면 날 불러주오기다..

Schubert Fischerweise, D 881 슈베르트 어부의 노래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프란츠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오스트리아 낭만 시대 작곡가가곡의 왕대표곡: 교향곡 ‘미완성’, 피아노곡 ‘방랑자 환상곡’, ‘스케르초’, ‘악흥의 순간’, 실내악곡 ‘죽음과 소년’, ‘송어’, 연가곡집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겨울 나그네’, ‘백조의 노래’ 등 1200여 곡 ​  악곡 해설슈베르트는 1828년 여름에 친구 슐레츠타(Franz Xaver von Schlechta, 1796~1875)의 시 ‘어부의 노래(Fischerweise)에 곡을 붙였고, 마리아 샬럿 캐롤라인 킨스키(킨스키 후작 부인, Maria Charlotte Caroline Kinsky, 1782~1841)에게 헌정하였다.  모두 7절로 된 유절 가곡(제5절은 생략, 2개의 절..

슈베르트 예술가곡 ‘마왕’, 작품1(D. 328) Schubert Der Erlkönig, Op.11(D. 328) / 악보를 통한 악곡 분석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 1797∼1828)는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4남으로 태어났다. 11세에 콘빅트 국립학교에 입학하여 작곡을 공부하였고, 13세 때 궁정예배당의 소년 가수로, 학교에서는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리니스트로 활약하는 등 연주회에도 자주 출연하였다. 그러나 15세 때 변성기에 이르러 소년 가수의 임무를 끝냈고, 17세 때 부친이 근무하는 초등학교의 임시교사가 되어 3년간 근무했다. 그 기간에 《마왕》·《들장미》를 포함한 146곡의 가곡과 실내악, 교향곡, 피아노 소나타, 종교 음악, 희가극 등 많은 음악을 작곡하였다. 21세 때 헝가리 귀족 에스테르하지 백작의 음악가 겸 교사로 고용되었는데, 이 때의 작품으로는 《숭어 피아노 5중주곡》이 있다. 25..

51. 금강에 살으리랏다 (이은상 시, 홍난파 작곡, Tenor 안형일)

홍난파(1898~1941) 수원 출생, 난파는 아호, 본명은 홍영후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음악평론가일본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 2년 수학대표곡: 봉숭아, 성불사의 밤, 봄 처녀 옛 동산에 올라 10여곡의 가곡, 오빠생각, 나뭇잎, 개구리 등 111곡의 동요 등​  악곡 해설이 곡은 홍난파의 1933년 노산 이은상(시조 시인, 1903~1982)의 시에 곡을 쓴 초기작품의 하나로서, 한국적 가락을 쓰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동양적 철학의 맛을 풍겨 주는 가사와 독특한 민속 조를 사용하여 한국적인 정취가 짙은 가곡이다. ● 보통 빠르기로, 라장조, 4/4박자, 작은 세도막 형식_a+a+ba금강에 살으리랏다금강에 살으리랏다a운무 더~리~고금강에 살으리랏다b홍진에 썩은 명리야아는체나 하~리~오이몸이 스러..

50. 그 집 앞 (이은상 시, 현제명 작곡, Baritone 오현명)

현제명(1902~1960) 대구 출생테너 성악가,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 수료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졸업미국 시카고 무디 기독교음악대학교 졸업미국 시카고 건(Gunn) 음악학교 석사기독교음악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미국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박사대표곡: 고향생각, 산들바람, 오페라 ‘춘향전’, ‘호동 왕자’ 등​ 악곡 해설낮게 흐르는 정서적인 가곡에 잘 어울리는 이은상(시조 시인, 1903~1982)의 문학적인 시 ‘그 집 앞’에 현제명 곡을 붙이고 자신의 노래로 1933년에 자신의 테너 독창으로 처음 발표하였다. 단조로운 맑고 차분한 느낌의 서정적인 가곡이다.  ● 느리게, 라장조, 4/4박자, 두도막 형식_A(a+b)-B(c+d)a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면b그리워 나도 몰래..

48. 그리움 꽃 (이수인 작사·작곡, Soprano 하선옥)

이수인(1939~2021) 경남 의령 출생서라벌 예술 대학 음악과 졸업마산성지여자고등학교, 제일여자고등학교 교사KBS 어린이 합창단 단장대표곡: 동요 ‘둥글게 둥글게’, ‘솜사탕’, 가곡 ‘고향의 노래’ 등 600여 곡​  악곡 해설이 곡은 이수인이 직접 가사를 쓰고 애절하게 곡을 붙인 서정가곡이다. 그리고 ‘고향의 노래 - 이수인 서정 가곡(2019년)’에 이수인의 가곡 ‘가신 누님’을 비롯하여 76곡을 수록하였다. ● 표정적으로, 내림가장조, 4/4박자, 두도막 형식_A(a+a')-B(b+b') a내 맘에 가득 담긴 그리움 꽃이여 애틋한 나의 사랑 달맞이 꽃이여a'밤마다 잠 못드는 기다림 꽃이여 기다리다가 여위워진 꽃이여b아 ~ 진정 안타까워라 달님께 바친 끝없는 소망이여b'아 ~ 너무 안타까워라 그..

47. 그리움 (이은상 시, 홍난파 작곡, Mezzo-soprano 이경연)

홍난파(1898~1941) 수원 출생, 난파는 아호, 본명은 홍영후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음악평론가일본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 2년 수학대표곡: 봉숭아, 성불사의 밤, 봄 처녀 옛 동산에 올라 10여곡의 가곡, 오빠생각, 나뭇잎, 개구리 등 111곡의 동요 등​ 악곡 해설노산 이은상(시조 시인, 1903~1982)이 사무치는 그리움으로 쓴 시에 홍난파가 바이올린적인 단조의 선율로 곡을 붙였다. 애절한 그리움의 정과 간주의 특징을 살린 짧은 서정 가곡이다. ● 애원의 정으로, 바단조, 3/4박자, 벗어난 작은 세도막 형식_a+a'+a''a뉘라서 저 바다를 밑이 없다 하시는고a'백천길 바다라도 닿이는 곳 있으리라a''님 그린 이 마음이야 그릴수록 깊으이다 하늘이 땅에 이었다 끝 있는 양 알지마오가보면..

46. 그리움 (고진숙 시, 조두남 작곡, Mezzo-soprano 백남옥)

조두남(1912~1984) 평안남도 평양 출생 작곡가, 피아노 연주자평양 종로공립보통학교 졸업6세 때(1918) 미국인 신부 캐논스(Cannons, J.)에게 피아노와 작곡 사사11세(1923) 가곡 ‘옛이야기’ 작곡대표곡: 가곡 ‘옛이야기’ ‘선구자’, 그리움, 오페레타 ‘에밀레종’ 등 ​​악곡 해설이 곡은 조두남이 20대 후반인 1944년 중국 하얼빈에 살 때 처음 작사·작곡한 곡이지만, 40대 후반인 1958년에 고진숙(본명-고봉선, 시인 및 교육자, 1934~ )이 개사해서 지금의 가곡 ‘그리움’으로 완성되었고, 1963년에 발표하였다.  ● 조금 느리게 열정적으로, 바장조, 3/4박자, 세도막 형식_A(a+b)-B(c+d)-C(e+f) a기약 없이 떠나가신 b그대를 그리며 c먼 산 위에 흰 구름..

45. 그리움 (황여정 시, 이안삼 작곡, Soprano 차수정)

이안삼(1943~2020) 일본 나고야 출생 6세 때부터 아버지의 고향인 김천에서 성장김천중고, 서라벌예대, 경희대 작곡과 졸업1967년부터 모교인 김천중ㆍ고등학교 교사 및 대학에 강사로 재직 1982년 미국 브루클린음대 작곡과 졸업, 줄리아드음악원 지휘과 수료대표곡: 내 마음 그 깊은 곳에,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그대가 꽃이라면, 그대 어디쯤 오고 있을까, 위로, 물한리 만추 등​악곡 해설황여정(시인, 2002년 동방문학 등단)의 시 ‘그리움’에 작곡가 이안삼은 서정적인 곡을 붙여 이안삼 작곡모음 3집 ‘내 마음 그 깊은 곳에’(2004년)에 ‘그리움’을 포함하여 17곡을 수록하였다.작곡가 이안삼은 어린 시절에 어머니와의 이별을 겪으며 평생을 그리움을 가슴에 품고 외로움을 작곡으로 승화시켰다.● 조금..

44. 그리움 (박목월 시, 이수인 작곡, Tenor 이재욱)

이수인(1939~2000) 의령에서 태어났으나 6 ·25전쟁 무렵 마산으로 왔다. 고교시절 친구들과 청운회라는 모임을 만들어 문학과 인생을 토론하기도 했는데, 소설가 이제하, 김병총, 송상옥, 박현령 등이 회원이었다. 서라벌 예대에 진학해서는 가곡 『가고파』의 작곡가 김동진의 수세자가 되어 본격적인 음악 수업을 받았으며 한때 마산 제일여고에서 음악을 가르치기도 했다.이수인은 어렵고 난해한 곡보다는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었다. 30여년이 넘도록 KBS어린이 합창단을 이끌며 학생들은 무론 일반인들도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동심이 담긴 생활노래를 『파랑새』라는 동요보급모임을 통해 보급하는 등 동요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해 온 자랑스런 마산 사람이다.『고향의 노래』를 비롯 『석굴암』,『별』 등 주옥같..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