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악 341

147. 산유화 (김소월 시, 김성태 작곡, Soprano 이혜원)

김성태(1910~2012) 서울 출생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지휘자, 음악교육가연희전문학교 졸업도쿄 고등음악학원 작곡 전공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음대 작곡이론 연구서울대학교 음대 학장대표곡: 교향적 기상곡, 현악 4중주, 현악합주를 위한 모음곡,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나, 교성곡 ‘비바람 속에’와 연가곡 ‘꽃’, 가곡 ‘산유화’, ‘이별의 노래’, ‘즐거운 우리 집’, ‘동심초’, ‘못잊어’, 동요 ‘잘자라 우리아가’ 등  악곡 해설이 곡은 1946년 봄에 김소월(본명_김정식, 호_소월, 시인, 1902~1934)의 시에 김성태가 곡을 붙인 민족적 시정의 가곡이다. 5음 음계를 사용하여 민속적인 분위기를 민요풍의 장단으로 표현하였다.  ● 민요풍으로 아름답게, 내림사장조, 3/4박자, 겹두도막..

146. 산에서 부르는 소리 (고진숙 시, 김희조 작곡, Mezzo-soprano 황화자)

김희조(1920~2001) 서울 출생작곡가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KBS 스몰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서울예술대학 국악과 교수경희대학교 음악과 교수, 서울국악예고 서양음악 담당 강사,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교수대표작품: 「단소와 관현악을 위한 수상곡」, 「창과 관현악 범피중류」, 뮤지컬 「대춘향전」 등​ 악곡 해설고진숙(본명-고봉선, 시인·교육자, 1934~ )이 6.25사변 휴전이후에 건강이 좋지 않아 약초를 구하러 산을 찾았을 때 자연의 아름다움과 산의 비경을 보고 ‘산에서 부르는 소리’ 시를 썼으며, 작곡가 김희조는 1987년 KBS 신작 가곡 위촉으로 평소에 지니고 다니던 이 시를 떠올렸고, 삭막한 도심에 사는 사람들에게 산과 자연이 품고 있는 분위기를 전하기 위해서 곡을 붙였다.  ● 느리게, 라..

145. 산아 (신홍철 시, 신동수 작곡, Baritone 고성현)

신동수서울대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건국대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 졸업제3회 MBC대학 가곡제 대상수상(산아)선화예술 고등학교 음악교사대표곡: 산아 등​  악곡 해설이 곡은 1983년에 개최되었던 제3회 MBC 대학가곡제 대상 수상곡이다. 작곡자의 부친이신 신홍철이 시를 쓰고, 신동수(당시, 서울대 4학년)가 곡을 붙였다. 고향을 떠나야만 했던 비통한 심정을 절절하게 표현한 가곡이다. ● 매우 느리게, 다단조, 4/4박자, 통절 형식산아 사랑하는 내 고향의 산아종내 너를 두고 나는 가누나내 마음의 무게이고 내 넋의 크낙한 날개여두 팔로 내 목을 얼싸안고안타까이 나를 울리는 사랑아산아 내 고향의 산아 잘 있거라오 내가 죽어서도 돌아올 보금자리여어디메 묻혔다가도 되돌아와 묻힐 내 내 무덤이여오 눈 익은 묏부리 묏..

144. 산들바람 (정인섭 시, 현제명 작곡, Tenor 최승원)

현제명(1902~1960) 대구 출생테너 성악가,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 수료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졸업미국 시카고 무디 기독교음악대학교 졸업미국 시카고 건(Gunn) 음악학교 석사기독교음악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미국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박사대표곡: 고향생각, 산들바람, 오페라 ‘춘향전’, ‘호동 왕자’ 등​  악곡 해설현제명이 유학시절에 고국에 대한 향수를 달래기 위해 정인섭(영문학자·평론가·시인, 1905~1983)의 시에 곡을 붙였다. 1933년에 출간한 작곡집에 수록되어 있다. 가사와 더불어 매우 짧은 곡이지만 함축성이 있고 감정이 풍부한 서정 가곡이다. ●느리게, 내림가장조, 4/4박자, 벗어난 한도막 형식_전주-A(a+b)-후주  a산들바람이 산들 분다b달 밝은 가을..

143. 산노을 (유경환 시, 박판길 작곡, Tenor 신영조)

박판길(1929~ ) 작곡가. 지휘자.서울대 음대 작곡과 졸업시카고 콘서바토리 석사세종대, 충남대 교수대표곡: 산노을​​악곡 해설이 곡은 유경환(시인, 1936∼2007)의 시에 박판길이 1972년에 곡을 만들어 작곡집 ‘산노을(1976)’에 실은 가곡이다.서정적이고 전원적인 가사와 사단조의 독특한 가락이 잘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가곡이다. 음폭이 넓은데다 극적인 고조 또한 깊고 외롭고 쓸쓸한 느낌이 가득하며 가을산과도 잘 어울린다.​​●느리고 우울하게, 사단조, 5/4-4/4박자, 축소된 세도막 형식_A(a+b)-B(c+d)-A'(b')  a먼산을 호젓이 바라보면 누군가 부르네b산너머 노을에 젖는 내눈썹에 잊었던 목소린가c산울림이 외로이 산넘고 행여나 또 들릴듯한 마음d아아 산울림이 내마음 울리네b'다가..

142. 산길 (양주동 시, 박태준 작곡, Tenor 윤치호)

박태준(1900~1986) 대구 출생숭실 전문학교를 졸업연세대 음대 교수로 재직성악가, 작곡가, 합창 지휘자대표곡: 동무 생각, 산길, 동요 ‘물새 발자국’ 등​    악곡 해설양주동(시인·학자, 1903~1977)이 1932년에 간행한 시집 ‘조선의 맥박’의 제2호에 수록되어 있는 ‘산길’에 박태준이 곡을 붙였다. 일제 탄압에 대한 조국 광복을 갈망하는 의지를 노래하였다. ● 표정적으로, 바단조, 2/2박자, 겹두도막 형식_A(a+b)-A'(a+b')-C(c+d)-D(e+f) a산길을 간다 말 없이 b홀로 산길을 간다.a해는져서 새 소리b'새소리 그치고c짐승의 발자취 그윽히 들리는d산길을 간다 말 없이e밤에 홀로 산길을f홀로 산길을 간다고요한 밤 어두운 수풀가도 가도 험한 수풀고요한 밤 어둔 수풀가도 ..

141. 산 (김소월 시, 하대응 작곡, Tenor 나근용)

하대응(1914~1983) 강원도 홍천 출생성악가, 작곡가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일본 성악 공부대구 남산여자고등학교 교사효성여자대학교 교수대표곡: 진달래꽃, 못잊어, 초혼, 나그네 등​ 악곡 해설일제 강점기에 김소월(본명_김정식, 호_소월, 시인, 1902~1934)이 우리 고유의 정서를 산에 비유하여 쓴 시에 하대응이 1973년에 곡을 붙여 ‘하대응 가곡집 Ⅱ’에 수록하였다.  ● 조금 느리게, 다단조, 2/4박자, 확대된 벗어난 세도막 형식​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산새는 왜 우노시메산골 영 넘어 가려고그래서 울지 눈은 내리네 와서 덮이네산새는 하룻길 칠팔십리 돌아서서 육십리를 가기도 했소불귀 불귀 다시 불귀 삼수 갑산에 다시 불귀사나이 속이라 잊으련만십오년 정분을 못 잊겠네산에는 오는 눈 들에는 녹는..

140. 산 (허윤석 시, 조두남 작곡, Tenor 박세원)

조두남(1912~1984) 평안남도 평양 출생 작곡가, 피아노 연주자평양 종로공립보통학교 졸업6세 때(1918) 미국인 신부 캐논스(Cannons, J.)에게 피아노와 작곡 사사11세(1923) 가곡 ‘옛이야기’ 작곡대표곡: 가곡 ‘옛이야기’ ‘선구자’, 그리움, 오페레타 ‘에밀레종’ 등 ​3. 악곡해설산을 통해 느껴지는 정서를 고운 시어와 아름다운 가락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곡 중의 하나인 이 가곡은 허윤석(시인, 1914~1995)의 시에 조두남이 1940년에 곡을 붙였다.​● 너무 느리지 않고 아름답게, 내림가장조, 5/8 - 2/4박자, 세도막 형식_A(a+b)-B(c+d)-A(a+b)a소리없는 가랑비에 눈물 씻는 사슴인가b영을 넘는 구름 보고 목이 쉬어 우노라네c아~~~~~ d산에 산에 사노라a사..

139. 사랑하는 마음 (임긍수 작사·작곡, Tenor 임웅균)

임긍수(1949~ ) 충남 병천 출생, 교육자 및 예술가곡 작곡가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및 단국대학교 대학원 졸업은광여고 교사. 미국 죠지아주립대 교환교수를 역임대표곡: 강 건너 봄이 오듯, 안개꽃 당신, 사랑하는 마음, 대관령에 올라, 오페라 ‘메밀 꽃 필 무렵’등​     악곡 해설임긍수는 2008년 크로스오버뮤직 ‘사랑하는 마음’을 자신이 직접 가사를 쓰고 곡을 붙여 작곡집 ‘안개꽃 당신’에 수록하였다. ● 보통 빠르기로, 라단조, 4/4박자나 가진것을 모두 다 드리고그대 앞에 그냥 홀로 서리라비어있는 이 마음 그냥 그대로오직 그대만을 바라보리라낙엽은 지고 비바람 불어와도기다리는 봄날이 꿈에 있듯이한송이 꽃보다 고운 이야기그대 품속에 안겨 주시리라나 있는 것을 모두 다 비우고그대 앞에 그냥..

138.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문효치 시, 이안삼 작곡, Tenor 김승직)

이안삼(1943~2020) 일본 나고야 출생 6세 때부터 아버지의 고향인 김천에서 성장김천중고, 서라벌예대, 경희대 작곡과 졸업1967년부터 모교인 김천중ㆍ고등학교 교사 및 대학에 강사로 재직1982년 미국 브루클린음대 작곡과 졸업, 줄리아드음악원 지휘과 수료대표곡: 내 마음 그 깊은 곳에,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그대가 꽃이라면, 그대 어디쯤 오고 있을까, 위로, 물한리 만추 등​악곡 해설‘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시는 문효치(시인, 1943~ ) 시집 『선유도를 바라보며(문학아카데미, 1997년)』에 수록된 것을 작곡가 이안삼이 곡을 붙여 가곡선집 제5집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2008년)에 수록하였다.시와 가락, 그리고 피아노 반주가 삼위일체가 되는 열정적인 가곡이다.  ● 열정적으로, 라단조,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