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악 341

167. 아우 생각 (이가인 시, 심순보 작곡, Soprano 임청화)

심순보 (1957~ ) 호_청도언양 출생작곡가한국동요음악협회 울산지회장한국창작가곡협회 작곡분과회원한국동요음악대상 수상가곡집 ‘나 그대에게’, ‘연분홍 그리움’, ‘여명’​​악곡 해설이 곡은 이가인(본명_이혜자, 시인,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 ‘시․ 열림’ 동인, 1971~ )의 의뢰로 작곡가 심순보가 2020년 10월에 곡을 붙인 것으로 남동생의 도움으로 LA 생활을 하고 있음에 남동생이 베푸는 우애와 배려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임청화가 부르는 심순보 작곡의 우리가곡(2022년)’에 수록하였다.  ● 조금 느리게, 내림마장조, 4/4박자, 벗어난 겹두도막 형식 어린 시절 그 옛날의 사진 꺼내 보면서우리 남매 함께 살던 그 둥지 그려 본다코스모스 하늘거리고 송아지 울음소리 들려오던 정든..

166. 아무도 모르라고 (김동환 시, 임원식 작곡, Bass 연광철)

임원식(1919~ ) 평북 의주 출생작곡가. 지휘자. 일본 동경고등음악학교 졸업만주 하얼빈음악원 아사히나 다카시에게 지휘 배움.고려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줄리어드 음악원 지휘과 수료경성방송관현악단(현 KBS 교향악단의 전신)의 창설 지휘, 상임지휘서울예술고등학교 교장경희대학교 음악대학 학장,대표곡: 아무도 모르라고, 관현악곡 ‘한국환상곡’ 등  악곡 해설간결하면서도 서정성이 돋보이는 김동환(호_파인, 시인, 1901~1958)의 시 ‘아무도 모르라고’는 1942년에 펴낸 서정 시집 ‘해당화’에 수록되어 있다. 임원식이 23세(1942년) 일본 도쿄고등음악학교에 유학중에 곡을 붙였다. 파인의 시를 무리 없이 깊이 음미하도록 이끌어 내면으로 흐르는 고귀한 감정을 압축시켜 놓은 가곡이다. ● 조금 느리게, 내림마..

165. 아리 아리랑 (한국 민요, 안정준 작곡, Soprano 김성혜)

안정준(1929~2009) 사업가, 작곡가남성중창단 ‘프리모깐딴떼’ 창립대표곡: 가을의 기도, 아리 아리랑    악곡 해설이 곡은 전통 민요 ‘아리랑’을 고난도 기교와 고음역을 요하는 콜로라투라 양식으로 안정준이 작곡(편곡)하였다. 한 서린 민족의 마음을 대변하며 예술성이 높은 가곡이다. ● 보통 빠르기로, 내림가장조, 3/4박자, 통절 형식아리라랑~아리라랑 아라리요~아리라랑 고개로 넘어간다`삼백호랑이 잘도 넘고~~~십년묵은 시집살이 잘도 간다~`에에요에에에에에요 신난아이가~~~~~~잘도 논다 잘도논다 Soprano 김성혜https://youtu.be/XnkvalHlMEg   반주 음악내림가장조_오리지널키 반주에 맞추어 불러 봅시다.https://youtu.be/0XTgdS7F61U    :::도서출판 ..

164. 아 가을인가 (김수경 시, 나운영 작곡, Baritone 오현명)

나운영(1922~1993) 서울 출생∙작곡가, 교육자, 음악학자∙일본 동경제국고등음악학교 졸업∙대표곡: 가곡 가려나, 가곡 달밤, 가곡 아! 가을인가,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고전풍의 첼로소나타, 음악 이론서​  악곡 해설이 가곡은 ‘가려나’, ‘달밤’과 함께 나운영의 초기 작품으로 중앙고보 3학년(15세, 지금의 중학 3학년, 1936년) 김수경[김수향_필명, 본명_윤복진(1908~1991)]의 시에 기교를 의식적으로 거부하면서 악상을 자연 발상적이며 민속적인 가락으로 5음 음계를 사용하였다. ​●♩.=42, 내림가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_A(a+b)-B(c+b')a아 가을인가 아 가을인가b아 - - -아- 아 가을인가봐c물동에 떨어진 버들잎 보고b'물긷는 아가씨 고개숙이지아 가을인가 아 가..

163. 신아리랑 (양명문 시, 김동진 작곡, Soprano 강혜정)

김동진(1913~2009) 평안남도 안주시 출생, 교수 및 작곡가평양숭실중학 바이올린과 피아노, 화성학, 작곡 공부일본고등음악학교 유학 바이올린 전공1939년 만주국 신경교향악단 입단 제1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 활동해방이후 평양음악대학 교수1950년 서라벌예술대와 경희대 교수 재직대표곡: 봄이 오면, 가고파, 목련화, 못 잊어, 산유화, 내 마음, 수선화 등의 100편 가곡과 군가 및 동요 등 500편 이상  악곡 해설이 곡은 양명문(시인, 1913~1985)의 시를 쓰고 김동진이 곡을 붙여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 발표하였다.“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초가집 삼간을 저 산 밑에 짓고/ 흐르는 시내처럼 살아볼까나/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 조금 느리..

162. 시간에 기대어 (최진 작사·작곡, Soprano 이혜원)

최진작곡가킹스턴대학교 대학원 졸업수원여자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수국제융합예술대상 2019 작곡상 수상대표곡: 그리움 녹아내려, 서툰 고백, 시간에 기대어, 아름다운 날 등  악곡 해설이 곡은 작곡가 최진의 첫 가곡 작품이며, 바리톤 고성현이 2016년 발매한 음반에 처음 수록되었다.● 조금 느리게, 라장조, 4/4박자, 벗어난 겹세도막 형식a저 언덕 넘어 어딘가 그대가 살고 있을까b계절이 수놓은 시간이란 덤 위에 너와 난 나약한 사람 c바람이 닿는 여기 어딘가 우리는 남아있을까d연습이 없는 세월의 무게만큼 더 너와 난 외로운 사람c설움이 닿는 여기 어딘가 우리는 살아있을까d'후회투성인 살아온 세월만큼 더 너와 난 외로운 사람e난 기억하오 난 추억하오 소원을 져버린 우리의 관계도 f사랑하오 변해버린 그대 모습..

161. 스승의 은혜 (강소천 시, 권길상 작곡)

권길상(權吉相, 1927년 8월 4일~2015년 3월 13일)은 아동음악가다.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작곡 활동을 하였으며, 35세 때인 1961년 미국으로 건너가 한글을 가르치는 한국학교를 처음으로 시작하는 등 동요 보급에 힘썼다.주요 작품으로는 스승의 은혜, 과꽃, 어린이 왈츠, 푸르다, 꽃밭에서, 둥근달 등 약 150곡의 동요를 작곡하였다.  악곡 해설이 곡은 강소천(아동문학가·시인·소설가, 1915~1963)이 쓰고 권길상이 작곡한 노래로, 학창 시절 스승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많이 부른다. ● 조금 느리게, 바장조, 3/4박자, 세도막 형식_A(a+a')-B(b+c)-C(d+e)  1.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지네참되거라 바르거라 가르쳐 주신 스승은 마음의 어비이..

160. 수선화 (강신욱 시, 이수인 작곡, Soprano 이미경)

이수인(1939~2021) 경남 의령 출생서라벌 예술 대학 음악과 졸업마산성지여자고등학교, 제일여자고등학교 교사KBS 어린이 합창단 단장대표곡: 동요 ‘둥글게 둥글게’, ‘솜사탕’, 가곡 ‘고향의 노래’ 등 600여 곡​악곡 해설이 곡은 강신욱의 시 ‘수선화’에 이수인이 곡을 붙여 ‘생활 속의 애창곡집(2012년)’에 수록하였다.  ● 표정적으로, 내림나장조, 3/4박자, 두도막 형식_A(a+b)-B(c+d)a수선화야 수선화야 노란 수선화야b에코의 사랑도 다 물리치고 c물에 비췬 제 모습에 반해버린 미소년 d수선화야 수선화야 노란 수선화야수선화야 수선화야 고개 숙인 수선화야님프의 손짓도 못본체 하고제 몸 던진 그 자리에 아름답게 피는 꽃수선화야 수선화야 노란 수선화야 노란 수선화야 소프라노 이미경http..

159. 수선화 (김동명 시, 김동진 작곡, Baritone 최현수)

김동진(1913~2009) 평안남도 안주시 출생, 교수 및 작곡가평양숭실중학 바이올린과 피아노, 화성학, 작곡 공부일본고등음악학교 유학 바이올린 전공1939년 만주국 신경교향악단 입단 제1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 활동해방이후 평양음악대학 교수1950년 서라벌예술대와 경희대 교수 재직대표곡: 봄이 오면, 가고파, 목련화, 못 잊어, 산유화, 내 마음, 수선화 등의 100편 가곡과 군가 및 동요 등 500편 이상​악곡 해설1938년에 발간된 김동명(시인, 1900~1968)의 시 ‘내 마음’은 그의 제2시집 ‘파초’에 수록되어 있으며, 사랑을 감미롭게 다양한 비유와 적절한 어조로 표현한 서정시이다. 김동진은 이 시에 변박자와 조바꿈을 거치는 통절 형식으로 어두운 비장함과 무겁게 느껴지는 쓸쓸함을 표현하였다..

158. 솟대 (김필연 시, 이안삼 작곡, Tenor 박세원)

이안삼(1943~2020) 일본 나고야 출생 6세 때부터 아버지의 고향인 김천에서 성장김천중고, 서라벌예대, 경희대 작곡과 졸업1967년부터 모교인 김천중ㆍ고등학교 교사 및 대학에 강사로 재직1982년 미국 브루클린음대 작곡과 졸업, 줄리아드음악원 지휘과 수료대표곡: 내 마음 그 깊은 곳에, 사랑이여 어디든 가서, 그대가 꽃이라면, 그대 어디쯤 오고 있을까, 위로, 물한리 만추 등​ 악곡 해설이 곡은 김필연(시인·시각 디자이너, 1955~ )이 간월도 솟대를 모티브로 쓴 시 ‘솟대’에 이안삼이 서정적인 곡을 붙였다. 그리고 ‘안산시립합창단 한국가곡 3집 (2004년)’과 ‘한국예술가곡연합회 신작예술가곡 제1집(2005년)’에 수록하였다. ● 보통 빠르기로, 내림가장조, 4/4박자, 겹두도막 형식_A(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