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악 341

105. 못 잊어 (김소월 시, 하대응 작곡, Soprano 배행자)

하대응(1914~1983) 강원도 홍천 출생성악가, 작곡가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일본 성악 공부대구 남산여자고등학교 교사효성여자대학교 교수대표곡: 진달래꽃, 못잊어, 초혼, 나그네 등  악곡 해설1954년경 어느 저녁 무렵에 하대응은 대구 수성못 가를 거닐다가 주변의 호젓함에 고향에 계시는 어머니를 못 잊어 김소월(본명_김정식, 호_소월, 시인, 1902~1934)의 시에 곡을 붙였다. 표정을 가지고 조금 느리게, 다단조, 4/4박자, 벗어난 겹세도막 형식, 그리움에 애타는 서정적인 가곡이다. 잊을 수 없는 사랑의 괴로움을 노래한 소월의 시에 많은 작곡가들이 곡을 붙였다.​ ● 표정을 가지고 조금 느리게, 다단조, 4/4박자, 벗어난 겹세도막 형식_A-A-B a못잊어 생각이 나겠지요b못잊어 생각이 나겠지요 ..

104. 못 잊어 (김소월 시, 조혜영 작곡, Soprano 박누리)

조혜영(1969~ )한양대 작곡과 및 동대학원 졸업1992년 조선일보 신인음악회2005년 워싱턴 주립대학 섬머코랄 아카데미 수료2009~2014년 국립합창단 창작합창축제 위촉 작곡가2009년 대한민국 창작 합창제 작품상2012년 미국 아틀란타 합창 심포지움 작품상대표곡: 못 잊어, 바람은 남풍, 금잔디, 가시리, 무언으로 오는 봄​ 악곡 해설잊을 수 없는 사랑의 괴로움을 노래한 소월(본명_김정식, 호_소월, 시인, 1902~1934)의 시에 조혜영이 곡을 붙였다. 사랑하는 이를 잊지 못하는 아픈 마음을 속으로 인내하며 내림라장조, 4/4박자, 통절 형식으로 감정을 가지고 느리게 노래한다. 잊을 수 없는 사랑의 괴로움을 노래한 소월의 시에 많은 작곡가들이 곡을 붙였다. ● 감정을 가지고 느리게, 내림라장조..

103. 못 잊어 (김소월 시, 윤학준 작곡, Soprano 정선화)

윤학준(1949~ )한국의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 박사 과정 수료화천비목콩쿠르 창작가곡부문 1위 KBS창작동요대회 대상 수상 대표곡: 엄마의 향기, 한 여름의 낮잠, 꼭 안아줄래요, 엄마는 사랑을 만드는 요술쟁이, 하늘친구 바다친구 등  ​악곡 해설시 ‘못 잊어’는 김소월(본명_김정식, 호_소월, 시인, 1902~1934)의 초기작품으로 1925년에 간행된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되어 있는데, 잊을 수 없는 사랑의 괴로움을 노래한 시이다. 윤학준은 조금 느리게, 라단조, 4/4박자로 한국적 정서를 현대적 감성으로 곡을 붙였다.  ● ♩=76, 라단조, 4/4박자 a못잊어 못잊어 못잊어 생각이 나겠지요b그런대로 그런대로 한세상 지내시구려 a​못잊어 못잊어 못잊어 생각이 나겠지요b'그..

113. 바위고개 (이흥렬 작사·작곡, Mezzo-soprano 김학남)

이흥렬(1909~1980) 함남 원산 출생피아니스트, 작곡가, 교육자일본 도요 음악하교 졸업고려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대표작: 바위고개, 어머니의 마음, 꽃구름 속에, 코스모스를 노래함 등      악곡 해설이 곡은 1932년에 이흥렬이 직접 시를 쓰고 곡을 붙였다. ‘바우 고개’라고도 하며, ‘이흥렬 작곡집 제1권(1934년)에 수록하였다.   ● 느리게, 바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_A(a+b)-B(c+d)a바위고개 언덕을 혼자 넘자니b옛 님이 그리워 눈물 납니다c고개 위에 숨어서 기다리던 님d그리워 그리워 눈물납니다바위고개 핀꽃 진달래 꽃은우리님이 즐겨즐겨 꺾어 주던 꽃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바위고개 언덕을 혼자 넘자니옛 님이 그리워 하도 그리워십여 년간 ..

102. 못 잊어 (김소월 시, 김동진 작곡, Soprano 정기옥)

김동진(1913~2009) 평안남도 안주시 출생, 교수 및 작곡가평양숭실중학 바이올린과 피아노, 화성학, 작곡 공부일본고등음악학교 유학 바이올린 전공1939년 만주국 신경교향악단 입단 제1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 활동해방이후 평양음악대학 교수1950년 서라벌예술대와 경희대 교수 재직대표곡: 봄이 오면, 가고파, 목련화, 못 잊어, 산유화, 내 마음, 수선화 등의 100편 가곡과 군가 및 동요 등 500편 이상 ​​악곡 해설1923년 5월 개벽지에 실린 김소월(본명_김정식, 호_소월, 시인, 1902~1934)의 시 ‘못 잊어’에 김동진이 1957년에 곡을 붙였다. 느리게, 바단조, 3/4박자, 겹세도막 형식, 그리움에 애타는 서정적인 가곡이다. 잊을 수 없는 사랑의 괴로움을 노래한 소월의 시에 하대응과..

113. 바위고개 (이흥렬 작사·작곡, Mezzo-soprano 김학남)

이흥렬(1909~1980) 함남 원산 출생피아니스트, 작곡가, 교육자일본 도요 음악하교 졸업고려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대표작: 바위고개, 어머니의 마음, 꽃구름 속에, 코스모스를 노래함 등      악곡 해설이 곡은 1932년에 이흥렬이 직접 시를 쓰고 곡을 붙였다. ‘바우 고개’라고도 하며, ‘이흥렬 작곡집 제1권(1934년)에 수록하였다.   ● 느리게, 바장조, 6/8박자, 두도막 형식_A(a+b)-B(c+d)a바위고개 언덕을 혼자 넘자니b옛 님이 그리워 눈물 납니다c고개 위에 숨어서 기다리던 님d그리워 그리워 눈물납니다바위고개 핀꽃 진달래 꽃은우리님이 즐겨즐겨 꺾어 주던 꽃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님은 가고 없어도 잘도 피었네바위고개 언덕을 혼자 넘자니옛 님이 그리워 하도 그리워십여 년간 ..

101. 목련화 (조영식 시, 김동진 작곡, Tenor 김승직)

김동진(1913~2009) 평안남도 안주시 출생, 교수 및 작곡가평양숭실중학 바이올린과 피아노, 화성학, 작곡 공부일본고등음악학교 유학 바이올린 전공1939년 만주국 신경교향악단 입단 제1바이올린 연주자 겸 작곡가 활동해방이후 평양음악대학 교수1950년 서라벌예술대와 경희대 교수 재직대표곡: 봄이 오면, 가고파, 목련화, 못 잊어, 산유화, 내 마음, 수선화 등의 100편 가곡과 군가 및 동요 등 500편 이상​​악곡 해설이 곡은 1974년에 경희대학교 개교25주년을 기념하여 작곡한 ‘경희 칸타타’의 제2악장의 ‘대학송가’에 삽입된 곡으로 조영식(경희대학 초대총장·교육인, 1921~2012)이 시를 쓰고 김동진이 곡을 붙였다. ‘목련화’는 경희대학교의 교화이기도 하지만 젊은이들에게 웅장하고 씩씩한 패기와..

112. 바람아 (홍일중 시, 이수인 작곡, Tenor 이재욱)

이수인(1939~2021) 경남 의령 출생서라벌 예술 대학 음악과 졸업마산성지여자고등학교, 제일여자고등학교 교사KBS 어린이 합창단 단장대표곡: 동요 ‘둥글게 둥글게’, ‘솜사탕’, 가곡 ‘고향의 노래’ 등 600여 곡​ 악곡 해설이 곡은 홍일중(본명_홍우표, 아호_일중, 1935~ 시인, )의 시 ‘바람아’에 이수인이 열정적인 곡을 붙여 ‘고향의 노래 - 이수인 서정 가곡(2019년)’에 ‘가신누님’을 비롯한 서정가곡 76곡과 함께 수록하였다.   ● 표정을 가지고, 내림라장조-내림나단조, 3/4박자–4/4박자, 벗어난 세도막 형식_A(a+b)-B(c+d)-C(e+f+g)  a아가의 숨을 품고 오는 바람아b때로는 하늘가에 부는 피리여c만가지 부여안고 막힌 가슴에d보름달 덩그러이 뚫어 가오리e산도 물도 ..

100. 명태 (양명문 시, 변훈 작곡, Baritone 오현명)

변훈(1926~2000) 함경남도 함흥피아니스트, 작곡가연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부영사, 파키스탄 총영사, 포르투갈 대리대사대표곡: 명태, 낙동강, 떠나가는 배, 한강, 진달래꽃, 쥐, 님의 침묵 등 ​   악곡 해설이 곡은 양명운(시인, 1913~1985)의 시에 변훈이 6. 25사변때 피난지인 대구에서 곡을 붙였다. 그리고 1952년 부산에서 바리톤 오현명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곡은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우리 음악계의 풍조 속에서 그 해학성으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가곡이다.  ● 자유로운 빠르기로, 올림바단조, 2/4박자, 통절 형식검푸른 바다 바다 밑에서줄지어 때지어 찬물을 호흡하고길이나 대구리가 클대로 컸을때내 사랑하는 짝들과 노상꼬리치며 춤추며 ..

111. 바다 (한갑수 시, 김성태 작곡)

김성태(1910~2012) 서울 출생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지휘자, 음악교육가연희전문학교 졸업도쿄 고등음악학원 작곡 전공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음대 작곡이론 연구서울대학교 음대 학장대표곡: 교향적 기상곡, 현악 4중주, 현악합주를 위한 모음곡,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나, 교성곡 ‘비바람 속에’와 연가곡 ‘꽃’, 가곡 ‘산유화’, ‘이별의 노래’, ‘즐거운 우리 집’, ‘동심초’, ‘못잊어’, 동요 ‘잘자라 우리아가’ 등  악곡 해설바다를 통해 희망과 이상의 꿈을 품고 노래할 수 있는 이 곡은 매우 밝고 희망에 넘치는 노래로, 만선의 기쁨을 가득 안고 항구로 귀항하는 어부들의 즐거운 모습을 노래하였다. ​● 보통 빠르기로, 내림나장조, 3/4박자, 벗어난 두도막 형식_A(a+a')-B(b+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