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한국 가곡

89. 동심초 (설도 시, 김억 역시, 김성태 작곡, Soprano 조수미)

black sheet music 3 2024. 7. 6. 12:04
728x90
반응형

김성태(1910~2012) 서울 출생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지휘자, 음악교육가

연희전문학교 졸업

도쿄 고등음악학원 작곡 전공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음대 작곡이론 연구

서울대학교 음대 학장

대표곡: 교향적 기상곡, 현악 4중주, 현악합주를 위한 모음곡,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나, 교성곡 비바람 속에와 연가곡 ’, 가곡 산유화’, ‘이별의 노래’, ‘즐거운 우리 집’, ‘동심초’, ‘못잊어’, 동요 잘자라 우리아가

악곡 해설

본래 이 시는 설도(당나라 시인, 768?~ 832)의 한시 춘망사세 번째 절을 김억(필명, _안서, 본명_김희권, 1896~1950?)1943년에 번역하여 그의 역시집 망우초에 수록하였다. 그 후 1945년 말에 김성태가 시를 읽고 동심초를 작곡하였는데, 원시는 가사의 1절뿐이었지만 2절은 작곡자가 가필하여 지금과 같이 되었다.

 

 

● 애타는 정을 가지고, 바단조, 6/8박자, 벗어난 세도막 형식_A(a+b)-B(c+d)-C(e+f)

a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b만날 날은 아득타
c기약이 없네
d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e, f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바람에 꽃이 지니 세월 덧없어
만날 날은 뜬구름,
기약이 없네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소프라노 조수미
https://youtu.be/qj7dXBTFOxY

 

 

 

반주 음악

1. 오리지널키(바단조) 반주에 맞추어 불러 봅시다. 
https://youtu.be/gUJCNUJ3ecU

 

 

2. 라단조_오리지널키(바단조) 보다 단3도 낮은 반주입니다.
https://youtu.be/nPqRbhfqzTM

 

 

 

 
728x90
반응형